행사일정을 소개합니다.
시간 | 제목 | 발표자 | 비고(국가) |
---|---|---|---|
개회식 | 사회 모순영 (겨레말큰사전 사무처장) | |||
10:00 - 10:05 | 개회사 |
민현식 겨레말큰사전 이사장 |
한국 |
10:05 - 10:10 | 환영사 |
한경구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사무총장 |
한국 |
10:10 - 10:20 | 축사 |
권영세 통일부 장관 |
한국 |
박상미 주유네스코대한민국대표부 대사 |
한국 | ||
10:20 ~ 10:30 | 장내 정리 |
제1세션: 토착어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토착어로 문학하기 | 좌장 고명철 (문학평론가, 광운대학교 교수) | |||
---|---|---|---|
10:30 - 11:00 | 기조강연: 토착어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토착어 사전의 힘 |
권재일 (한글학회 이사장, 서울대학교 명예교수) |
한국 |
11:00 - 11:30 | 토착어로 문학하기(Kichwa) |
야나 루실라 레마 오타발로 (시인) |
에콰도르 |
11:30 - 12:00 | 토착어로 문학하기(전라도) |
이대흠 (시인) |
한국 |
12:00 - 12:30 | 토착어로 문학하기(Binísayâ) |
마르조리에 에바스코 페르니아 (시인) |
필리핀 |
12:30 - 14:00 | 오찬 | ||
14:00 - 14:30 | 토착어로 문학하기(평안도) |
이명애 (시인) |
한국 |
14:30 - 15:00 | 토착어로 문학하기(Cinyanja/Chewa) |
창가미어 음찌지 (시인) |
잠비아 |
15:00 - 15:20 | 휴식 | ||
15:20 - 16:30 | 종합 질의: 토착어로 문학하기의 의미와 토착어 창작 과정 |
시간 | 제목 | 발표자 | 비고(국가) | |
---|---|---|---|---|
제2세션: 세계 사전에 나타난 지역어 | 좌장 유현경 (연세대학교 교수) | ||||
14:00 - 14:30 | 제주 방언과 사전 |
강영봉 (제주어연구소 소장) |
한국 | |
14:30 - 14:50 | 제주 방언과 사전에 대한 토론 |
정승철 (서울대학교 교수) |
한국 | |
14:50 - 15:20 | 다우르어와 사전 |
안상혁 (몽골국제대학교 교수) |
몽골 | |
15:20 - 15:50 | 다우르어와 사전에 대한 토론 |
김주원 (서울대학교 명예교수) |
한국 | |
15:50 - 16:20 | 테툼어와 사전 |
벤자민 코트리얼 (동티모르국립대학교 교수) |
동티모르 | |
16:20 - 16:50 | 테툼어와 사전에 대한 토론 |
도원영 (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교수) |
한국 | |
16:50 - 17:20 | 겨레말큰사전 편찬과 지역어 |
김강출 (겨레말큰사전 편찬부실장) |
한국 | |
17:20 - 17:50 | 겨레말큰사전 편찬과 지역어에 대한 토론 |
신성철 (순천대학교 교수) |
한국 | |
17:50 - 18:00 | 질의응답 | |||
18:00 - 18:10 | 폐회식 |
찾아오시는 길을 안내합니다