사키야마 다미
소설가
행사일정을 소개합니다.
시간 | 제목 | 발표자 | 국가 |
---|---|---|---|
개회식 | 사회 모순영 겨레말큰사전 사무처장 | |||
10:00 - 10:05 | 개회사 |
민현식
|
한국 |
10:05 - 10:10 | 환영사 |
한경구
|
한국 |
10:10 - 10:20 | 축사 |
샤바즈 칸
|
파키스탄 |
김영호
|
한국 | ||
박진
|
한국 | ||
박상미
|
한국 | ||
10:20 - 10:30 | 장내 정리 |
첫째 마당: 토착어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토착어로 문학하기|좌장 이상숙 문학평론가, 가천대학교 교수 | |||
---|---|---|---|
10:30 - 11:00 | 기조강연: 유네스코의 ‘세계 토착어 10년’ 실행과 토착어의 가치와 의미(미정) |
칭이 정
|
중국 |
11:00 - 11:30 | 기조강연: 《겨레말큰사전》과 백석 시에 나타난 서북 토착어의 양상 |
이숭원
|
한국 |
11:30 - 12:10 | 오키나와어(沖縄語)·미야코어(宮古語)·야에야마어(八重山語)로 문학하기 |
사키야마 다미
|
오키나와현(일본) |
12:10 - 14:00 | 오찬 | ||
14:00 - 14:40 | 스와힐리어(Kiswahili)로 문학하기 |
이본느 아드히암보 오우어
|
케냐 |
14:40 - 15:00 | 케추아어(Quechua)로 문학하기 |
오디 곤잘레스
|
페루 |
15:20 - 16:00 | 경상도어로 문학하기 |
안상학
|
한국 |
16:00 - 16:20 | 휴식 및 장내 정리 | ||
16:20 - 17:00 |
종합 질의: 토착어로 문학하기의 의미와 토착어 창작 과정 (발표자, 현장 참가자 등) |
시간 | 제목 | 발표자 | 비고(국가) | |
---|---|---|---|---|
둘째 마당: 토착어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토착어 자료 구축과 활용 |좌장 정승철 서울대학교 교수 | ||||
13:20 - 13:50 | 기조강연: 토착어 자료 구축과 활용 방안 |
이태영
|
한국 | |
13:50 - 14:20 | 《겨레말큰사전》의 남북 및 해외 지역어의 수집과 활용 |
이길재
|
한국 | |
14:20 - 14:30 | 《겨레말큰사전》의 남북 및 해외 지역어의 수집과 활용에 대한 토론 |
한성우
|
한국 | |
14:30 - 14:40 | 휴식 | |||
14:40 - 15:10 | 북한 문화어의 방언 수용 양상 |
소신애
|
한국 | |
15:10 - 15:20 | 북한 문화어의 방언 수용 양상에 대한 토론 |
정희창
|
한국 | |
15:20 - 15:50 | 중국어에서의 전문용어 구축과 사용 양상 고찰 |
김광수
|
중국 | |
15:50 - 16:00 | 중국어에서의 전문용어 구축과 사용 양상 고찰에 대한 토론 |
신중진
|
한국 | |
16:50 - 16:10 | 휴식 | |||
16:10 - 16:40 | 우크라이나의 언어 상황과 언어 정책 |
박안토니나
|
우크라이나 | |
16:40 - 16:50 | 우크라이나의 언어 상황과 언어 정책에 대한 토론 |
정희원
|
한국 | |
16:50 - 17:20 | 대만의 현행 언어 정책과 실행 |
임수철
|
대만 | |
17:20 - 17:30 | 대만의 현행 언어 정책과 실행에 대한 토론 |
조영미
|
한국 | |
17:30 - 18:00 |
종합 질의: 토착어 자료 구축과 활용 (발제자, 현장 참가자 등) |
|||
18:00 - 18:10 | 폐회식 |
찾아오시는 길을 안내합니다